공지
안쓰고 쌓여있는 내용들
Eli♪
2020. 6. 22. 23:39
- [생각] 상식이 없는 사회 (2020/10/26)
- 결론: 요즘같이 전통미디어가 약화되고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게 된 시대에서 어떤 사람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상식이 다른 사람한테는 살면서 처음 들어보는 내용일 수 있다. 즉, 모든 사람이 대체적으로 알고 있는 지식인 상식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가 아는 것을 남이 모른다고 해서 너무 나무라지 말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할 것 같다.
- [생각] 영향력이란 어디서 발생하는가? 주관적인 생각, 객관적인 생각, 그리고 저널리즘 (2021/11/23)
- 저널리즘에 대한 답: 외신이 보는 것처럼 독자가 내용에 전혀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도 이해할 수 있게 서술해야 함. 국내 기사들은 암묵적으로 주어나 국내의 상식을 가정한다 (예: 3김체제 타도). 전 로이터 기자 유춘식 씨 의견 - https://youtu.be/0urIFthQOHM (2024-03-08)
- [생각] 누군가에게는 소비재인 것이 남한테는 자본재일 수 있다. (2021/12/18)
ref: https://www.youtube.com/watch?v=MMlPH8gTXs0 - 논문,책 등과 블로그의 차이, 신뢰성, 보안성, 그리고 steem의 몰락 (2022-02-10)
생각 조각들: peer review는 편향되거나 잘못된 생각을 거르는 데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수정 불가능한 블로그는 어불성설인 것 같다. Proof of stake는 좋은 방식이 아닐 수도 있다. - 대체 불가능한 기술, 대체 불가능한 인재 (2022-03-18)
ref: https://youtu.be/cUocbBjvA_c?t=14426
질이 떨어지더라도 대체 가능한 것은 대체 가능한 것이다. 역시 중국은 무섭다.. - 하루를 24시간보다 더 쓰는 방법 (2022-05-16)
이전엔 TV뉴스를 보려면 현실시간으로 그대로 봐야 했다. 이제는 유튜브 등에서 라이브를 해 주니 1시간 전으로 돌려서 배속으로 보면 정보습득을 훨씬 빨리 할 수 있다. 글이야 개인이 빨리 읽으면 그만이었지만 시청각 컨텐츠는 그동안 1배속으로 봐야 했기에 나의 정보 수용 속도보다 한참 느렸는데, 이제는 다시보기와 배속지원의 조합으로 본인에게 맞는 배속으로 들으면 최상의 효율로 시간을 쓸 수 있다. 그리고 남은 시간에는 이렇게 습득한 지식으로 지혜를 발휘해서 더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 - 세부 규칙을 정하는 것, 즉 rule book을 만드는 것이 어느 상황에서, 어디까지 필요한가? (2022-06-22)
- 충분히 똑똑한 사람이 나와서 데이터의 패턴을 파악하고 이용할 수 있다면, machine learning보다는 효율이 매우 좋은 것이 아닌가? 개별 인간으로서의 한계와 human error를 극복하는 방법은? (2022-09-02)
- 진짜 고수는 프로 필드에 숨어 있다 (2023-02-02)
일반인이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식인들과 전문가들은 많은 주목을 받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그들이 최고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가끔 스티븐 호킹처럼 본업에서도 최고의 두각을 나타내면서 대중 활동까지 활발하게 하는 천재들이 있으나 매우 극소수고, 대부분의 경우 탁월한 실력을 가진 사람들은 이미 어딘가로 스카웃돼서 그 실력으로 돈을 벌거나 그 분야의 명성을 쌓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통 그들은 다른 활동을 할 여력과 시간이 없기 때문에 대중 노출이 적을 수밖에 없다. 즉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대중에게 인기 있는 전문가들도 물론 많지만, 최고의 전문가가 필요한 경우 그게 최선인지는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 창의적인 사람과 똑똑한 사람의 차이, 그리고 똑똑한 사람이 되기 위한 전략은? (2023-02-25)
-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최선의 행동을 위해 기억을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외부 기억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은 존재하는가? (2023-05-17)
- 내가 아는 것들이 쓸모 없어지고 오히려 아는 것이 독이 되는 시대가 오기 전에 대비하는 전략은? (2023-12-01)
- 망해 가는 국가에서 개인이 할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이 있는가? 지속 불가능한 시스템을 개혁하는 것에 대한 정치적 판단유보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은? 정부의 역할과 복지 시스템, 재정지원, 신중한 판단, 점진적 변화. (2024-03-07)
ref: https://www.youtube.com/watch?v=5E8Vjd-MV2I - AI assist 시대에서 박사의 의미와 문제를 정의하는 능력에 관하여 (2024-07-30)
- 금리 이원화 시대에서의 대응방안 (2024-09-04)
생각 조각: 현재 한은 총재는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금리를 0으로 낮추지 않으려 한다. 즉 방향성은 같되 수치만 다른 처방을 하고 있다는 생각. 얄팍한 내 생각으로는 부동산 붕괴를 막는 것을 최우선으로 한다고 보이는데 국가가 강제로 부동산 폭락을 막기 위하여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이원화를 하는 경우 장기적 투자전략이 필요. 이 경우 은행이 돈을 벌게 되는데 은행이 번 돈은 어디로 가는가? 이 현상을 이미 겪었던 일본과, 이미 몇십 년에 걸쳐 안정화된 미국 등 타 선진국에서 은행은 어떤 행태를 보이는가? 그리고 국내 은행의 향후 대응 및 정부 정책에 대한 예상은?
ref: https://www.youtube.com/watch?v=7277WU5HXmM - 검증을 빠르게 하는 방법?
이제 LLM이 개별 인간 지능의 한계를 넘어서는 시대가 오고 있다. 평소의 생각대로 그렇다면 trial and error cycle을 매우 빨리 돌리는 것이 중요할 텐데, 그러려면 AGI의 output을 현실 세계에서 빠르게 검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어떻게 할 수 있나?
ref: https://youtu.be/7P-9i208LH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