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i의 여백

바쁜 나날들 사이에서 생각났던 이런저런 것들을 적어봅니다.

문제해결 36

실수로 하드 파티션 날렸을때 무료 데이터복구 프로그램(testdisk) 이용

앗...아아... 그동안 FL studio를 사용하면서 HDD에 데이터를 넣어놓고 있었는데 쓰다보니까 HDD 지연시간때문인건지 프로젝트 파일을 번갈아가면서 열 때 자꾸 프로그램이 튕기는 현상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에 쓰던 SSD로 데이터를 옮기기로 했다. 잡다한 파티션이 남아있는걸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SSD를 초기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diskpart를 켜서 작업을 했는데 아뿔사, 숫자 하나를 잘못 입력하는 실수로 SSD가 아니라 모든 작업물들과 샘플팩, 그리고 작곡 관련 자료들이 들어있는 HDD를 날려버린 것.. 그리고 이것을 깨달은 것은 이미 디스크 관리자에서 NTFS로 새 파티션까지 생성하고 나서였다. NTFS로 포맷하려고 보니까 용량이 이상했는데....???? 음악작업용 HDD가 ..

IT/문제해결 2020.11.01

갤럭시북 12.0 Book 설정 앱 없이 색감 문제 잠정 해결

작업중에 문제가 발생해서 해결한 경위에 대해 빠르게 글을 남긴다. 몇 년 전에 산 갤럭시 북이라는 윈도우 태블릿을 잘 쓰고 있는데 갤럭시 북에는 원래 'Book 설정'이란 windows 10앱이 있다. 원래는 여기에서 다음과 같이 펜이나 전원관리 등 다양한 설정들을 할 수 있다. 예전에 살때부터 약간 이해가 안됐던 거긴 한데 배터리 최댓값은 강제 85% 고정이고 (이럴거면 100%는 왜만든건지... 배터리 용량 늘려보일려고 만들었나?), 기본값이 10분 지나면 화면을 꺼버리는거였던가 그랬다. 게다가 AMOLED 최적화라고 해놓고 화면을 노랗게 만들어버리는 세팅이 있어서 나는 기본이라는 세팅으로 사용했었다. 이렇게 하니 다른 모니터들에서 보는 색감이 나왔다. 이런 이상한 세팅들의 원인을 추정해보자면 갤럭시..

IT/문제해결 2020.08.14

윈도우 10 디펜더로 바이러스 검사시 cpu 100% 찍을때 해결법

간만에 바이러스 검사를 돌렸더니 윈도우 디펜더가 위와 같이 CPU 올코어 100%를 점유한다. 그래서 동시에 다른 작업을 할 수가 없었다. 이전에는 바이러스 검사 돌리면서 일반 서류작업은 충분히 할 수 있었는데 언제부터 바뀐건지 cpu 100퍼를 찍어서 마우스 움직이는데도 버벅거릴 정도다. 바이러스 검사속도를 희생하더라도 해야할 일이 있는데 손 놓고있을 수는 없는 상황. 인터넷을 좀 찾아보니 로컬 그룹 정책을 바꾸라고 한다. 시작 버튼을 누르고 그룹 정책 이라고 입력하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켤 수 있다. 다음의 경로를 찾아가면 된다.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Microsoft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 스캔 앞의 웹페이지에는 windows defender라고 되어있는데 내 컴퓨터에서는..

IT/문제해결 2020.07.14

블루스택 hyper-V 안켰는데 오류날때 해결법

최근 윈도우 인사이더 프리뷰 19564 업데이트 이후로 블루스택을 켜면 아래와 같이 hyper-V 관련 오류가 뜨면서 안켜졌다. 이전에는 hyper-V로 별짓 다해봤지만 마지막 클린설치 이후에는 하이퍼V를 켠적도 없는데 원래 되던 블루스택이 안되는 현상이 이해가 안됐다. 실제로 windows 기능 켜기 끄기를 들어가도 아래와 같이 hyper V는 꺼져 있다. 참고로 나는 oracle virtualbox를 사용중이다. 어쨌거나 인터넷을 좀 뒤져보니 해결책이 나와있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재부팅 후 BIOS 또는 UEFI에서 Intel virtualization technology를 끈다. 2. 컴퓨터가 켜지면 블루스택을 켜서 돌아가는 것을 확인한다. (이거 꼭 해야됨. 건너뛰면 안됨. 만약 건너뛰..

IT/문제해결 2020.02.20

[Windows] 원격 데스크톱 60프레임으로 변경 (재시작 불필요)

최근 원격으로 작업하다가 의문이 들었다. 구글같은데서는 원격으로 총게임도 할 정도인데, 내가 쓰는 원격은 왜 동영상 재생할 때도 프레임 저하가 보일 정도로 프레임이 낮지? 검색을 좀 해보니 MS가 고의로 30프레임으로 떨어뜨려 놨었다. 아마 60프레임으로는 통신 latency를 잡기 힘들었나보다. MS 공식 사이트에 해결법이 있었다. 그런데 MS 공식 계정에는 다 끝난 이후 컴퓨터를 재부팅하라고 되어있는데 내가 보기에는 그럴 이유가 전혀 없어보였다. 내가 적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켠다. (Win+R 누른 후 regedit 쳐도 됨) 2. 다음 레지스트리 경로에 찾아간다. (하위경로도 있는데 Winstations 폴더까지만 간다.) HKEY_LOCAL_MACHINE\SYSTEM..

IT/새로운 시도 2020.02.16

[Windows] 화면 밖에 나간 창 옮겨오는법

직업상 작업용 컴퓨터에 여러 다른 기기들로 원격접속해서 작업할 일이 많다. 작업용 데탑은 모니터가 4개인데, 태블릿으로 원격잡을때도 있고, 방에있는 데탑으로 원격잡을때도 있고, 가끔은 핸드폰으로 원격을 잡기도 한다. 이러다 보면 해상도가 제각각이라 창 크기가 찌그러져있거나 아니면 작아졌다 다시 돌아오는 과정에서 화면 밖으로 나가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창이 어디있는지도 모르겠고 마우스로 모서리 아무리 찍어봐도 나오질 않는다. 작업표시줄에서 해당 창에 마우스를 올려보면 아래 사진처럼 까맣게 된게 보이는데 눌러봐도 뜨지 않는다. 아예 화면에서 사라져버린 것이다.이 때 당황하지 말고 저 검은녀석에 마우스를 올리고 (위 그림의 빨간색 영역) 재빨리 우클릭을 해 보면 아래와 같이 창이 하나 뜬다. 우클릭 ..

IT/문제해결 2020.02.14

백업시 0x80780119 에러로 디스크 공간 부족하다고 할 때

이거는 시스템 예약 파티션이 너무 작아서 그런거다. https://www.techrepublic.com/blog/windows-and-office/fix-the-0x80780119-error-when-creating-a-system-image-in-windows-7-and-8/ Fix the 0x80780119 error when creating a System Image in Windows 7 and 8 There is not enough disk space to create the volume shadow copy of the storage location (0x80780119). Here is how to fix that. www.techrepublic.com 위 글에서 힌트를 얻었는데, 문제 생기..

IT/문제해결 2019.07.15

좋은 컴퓨터에서도 이유 없이 엑셀에 렉이 걸릴 수 있다

---- (2021.07.14 추가) 최근 블로그 유입을 보다가 놀랐는데 이 글이 엑셀도 고사양을 필요로 한다는 식으로 잘못 이해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어디까지나 아래의 글 내용은 엑셀에 렉걸리는 이유가 사양 이외의 다른 이유가 있을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즉 일정 사양 이상 (내 생각에는 최소 4코어 CPU에 램 8기가, 권장은 6코어 이상 CPU에 램 16기가) 인데 엑셀에 렉이 걸리면 사양이 딸려서 렉걸리는게 아닐 가능성이 높으니 스펙업을 할 게 아니라 본문에도 언급하였듯이 빠른 fix 등의 방법을 알아보란 얘기다. 이하의 글을 읽는데 오해 없길 바란다. 그리고 액셀은 애초에 주어진 리스트에 대해서 간단한 연산을 수행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스프레드시트'라서 정렬이나 필터 연산에 ..

IT/문제해결 2019.07.12

크롬에서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 파일과 연결된 프로그램이 없습니다 에러 나올때

문제점 : Q-dir을 깔고나서 윈도우 기본 파일 탐색기 설정이 꼬였는지 기본 프로그램 재설정해도 크롬에서 파일 받은 후 파일 받은 위치 폴더 열기 버튼을 누르면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 파일과 연결된 프로그램이 없습니다"라고 에러 메세지가 뜸 해결법 : 1. regedit을 켠다 (윈도우키+R해서 regedit 엔터) 2. \HKCR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에서 (기본값)으로 된 걸 더블클릭해서 explorer.exe로 값을 바꾼다. 질문은 댓글로

IT/문제해결 2017.09.19

Windows powershell 접근권한 변경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 python으로 핸드폰에 notify하는 것을 구현하고 싶어서 windows powershell로 process binder를 만들었다. ps1확장자로 된 script를 실행하려 했더니 보안 오류가 떴다. Get-ExecutionPolicy를 해보니 Restricted 먼저 관리자 권한으로 Windows Powershell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Set-ExecutionPolicy unrestricted 이러면 보안경고 어쩌고 뜬다. y 입력하고 엔터누른다. 그리고 스크립트를 실행하니 된다. 참고로 스크립트는 다음과 같다. Windows PowerShell ISE에서 할 수 있다. $b = 1 do { $a = get-process calc $a.waitfo..

IT/문제해결 2015.02.23

[Visual Studio] Compile시 msvcr110d.dll 에러가 날 때

문제 : Visual Studio에서 build한 파일을 실행시킬 때 MSVCR110d.dll import 에러가 떴다. 해결법 : Build하고 싶은 솔루션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 > 속성을 누른다. 구성 속성 > 일반 탭에서 MFC사용을 '정적 라이브러리에서 MFC 사용'으로 바꾼다. 마지막으로 C/C++ > 코드 생성 탭에서 런타임 라이브러리를 '다중 스레드(/MT)'로 바꿔 준다. 마지막으로 Release로 build해 준다. 필자는 다른 설정을 기본값으로 두고 release로 build만 했는데 잘 됐다.

IT/문제해결 2014.08.11

구글애드 쿠키 차단함

문득 사운드클라우드에 들어갔는데 2014년 3월 25일부터 쿠키 정책이 바뀐다고 써 있었다. 이 기회에 내가 어떤 쿠키를 쓰는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구글 크롬에서 쿠키세팅을 보았다. 별로 쓰잘데기없어보이는 googleads.g.doubleclick.net이라는 사이트에서 내 chrome browser에 쿠키를 심고 있었다. 차단해버렸다. 그랬더니 google 광고가 이제 안뜬다. 좋다. 앞으로도 알 수 없는 출처에 대한 쿠키, 특히 내가 알지 못하는 쿠키는 제거해버려야겠다.

IT/문제해결 201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