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i의 여백

바쁜 나날들 사이에서 생각났던 이런저런 것들을 적어봅니다.

새로운시도 51

만물을 유일한 숫자로 대응시키는 방법에 관한 생각

시작은 파일 압축 이야기로부터.. SSD라 그런가.. 파일 복사를 여러개로 쪼개서 실행하는게 왜 더 빠른거같지? IT 업계 종사자인 지인이 낮에 뜬금없이 위와 같이 화두를 던졌다. 저장장치 간 파일 이동작업을 많이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파일 갯수가 몇십만 개 급으로 많을 경우 전체를 압축해서 옮긴 다음 압축을 푸는 것이 빠른 경우가 많다. 이 사람도 이걸 모르진 않을 텐데, 질문을 던진 것이 의아했다. 하여간 관련해서 파일 이동시 병목이 CPU인지 램인지 저장장치인지에 관해서 약간의 이야기가 오갔다. 결국 직접 해 보니 압축해서 옮기는 것이 더 빨랐고, CPU를 100%로 갈구기 위해 폴더별로 압축을 해서 압축과 이동을 동시에 하니 더 빨라졌다. 그런데 압축 얘기를 하다 보니, 그 동안 압축 알고리즘도..

일상./생각 2022.02.23

manifest v3 Chrome extension에서 service worker와 indexedDB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들어가며 최근에 크롬 익스텐션 만들 일이 하나 생겨서 좀 찾아보니 표준이 manifest v3로 버전 업이 되어있었다. 마지막으로 chrome extension 관련해서 깨작거려본지 몇 년 된지라 역변한 기술을 받아들이기가 힘들었다. 그래도 신문물을 써보려고 가이드를 참고하여 manifest.json에 version 3을 입력하고 background.js도 worker로 변경을 했는데 보안 이슈로 웬만한걸 다 막아놔서 extension에서 접근이 안되는게 너무 많았다. 특히 특정 사이트를 스크래핑해서 DB에 정리하고 그 DB를 써서 다른 페이지의 html을 변경하는 것이 목적이었는데 자꾸 CORS인지 하는 보안경고를 띄우니 답답 그 자체였다. 몇시간의 삽질 끝에 정석적으로 올바르게 통신하는 chrome ..

프로그래밍 2022.02.16

뽑기 확률 시뮬레이터, 설계부터 구현까지

들어가며우리나라에도 제대로 된 온라인 뽑기 확률 계산기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출발했었고, 주말을 투자해서 쓸만한 결과물을 얻었었다. 그리고 뽑기 확률 시뮬레이터 완성품에 대한 공개 및 계산 결과 해석방법에 대해서 이전 글에서 상세히 다루었다. 이전 글 링크는 다음과 같다.https://projecteli.tistory.com/199 천장 찍으려면 얼마 필요? 뽑기 확률 시뮬레이터(Random box simulator)뽑기확률 by ProjectEli (@projecteli) on CodePen. 작성계기 얼마전에 우연하게 확률형 아이템이 있는 게임들의 확률 표기 방식에 대해 문제를 지적하는 한 영상(김실장 유튜브)을 보고 영상에 나온대로projecteli.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해당 시..

IT/새로운 시도 2022.01.26

천장 찍으려면 얼마 필요? 뽑기 확률 시뮬레이터(Loot box simulator)

뽑기 확률 계산 (초기 로딩에 약간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 뽑기확률 by ProjectEli (@projecteli) on CodePen. 작성계기 얼마전에 우연하게 확률형 아이템이 있는 게임들의 확률 표기 방식에 대해 문제를 지적하는 한 영상(김실장 유튜브)을 보고 영상에 나온대로 내가 뽑을 확률이 99%가 되려면 예상 시도횟수와 들어가는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쉽게 계산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아쉬웠던 점은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나라 게임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는데 일본껄 가져왔다는 것이다. 약간 검색을 해보니 우리나라에 뽑기 확률 계산기가 제대로 된 게 없어서 그런 것 같았다. 특히 천장을 찍기 위해 필요한 뽑기 시도 횟수같은걸 제대로 구하는건 우리나라 확률형 아이템 규제법안에 아..

IT/새로운 시도 2022.01.17

이제 온라인에서도 작곡이 된다? Chrome Music Lab

Chrome music lab 발견과정예전에 큰 돈을 들여서 Cubase Pro 까지 구매를 했었지만, 최근에 보통 퇴근을 새벽 3~5시 사이에 하기 때문에 작곡 프로그램을 켜서 프로젝트 열고 마음먹고 작곡할 여유가 나지 않는다. 그래서 웹페이지로 열자마자 바로 뚜들길 수 있는 Multiplayer piano라는 곳에 들어가서 혼자 방을 파고 미디 건반을 조금 뚜들기다 자는 것이 거의 유일한 여가시간이었다. 물론 내 피아노 실력은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거창한 곡을 연주하지는 못하고 주로 코드전개 위주의 음악들을 청음 하면서 눌러보는 정도에 그치지만, DAW같은게 없이도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음악을 만들 수 있다는 게 마음에 들었었다. 그러다 얼마 전에 호환마마 라는 곡으로 Pinoki라는 재능 있는 아티..

음악 및 작곡 2021.12.17

논문용 멋진 그림 그리는 법에 관한 자료

이전 글 1: 논문용 그림 그리는 기준 및 pdf export에 관한 생각이전 글 2: 정확한 좌표로 그림 그리기 (metapost와 manim)이 글은 위의 두 가지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이라고 보면 된다. 작성계기사실 이전에 bioelectronics 책 집필에 참여할 때 내가 그림실력이 너무 딸려서 머릿속에 있던걸 그림으로 구현해내지 못했던게 매우 아쉬웠다. 이후에도 그냥 나는 미술적 재능이 없으니까 포기하려다가 노가다를 뛰면 되지 않을까 해서 삽질을 엄청나게 했던게 이전에 썼던 글이었다.그리고 이후에 어떻게든 찾아낸게 biorender라는 사이트였다. 전문적으로 쓰려면 돈을 내야 하지만, 생물학 관련한 고퀄 그림들을 드래그해서 손쉽게 그릴 수 있는 아주 좋은 사이트이다. 실제로 내 박사 프로포절 할..

IT/새로운 시도 2021.12.16

화상회의, zoom 대신 써보는 MS teams

체험 배경 zoom은 안쓰고 싶고, 뭔가 더 나은 프로그램 없나? 최근 업무 관련해서 협업하는 사람들이 서울 대전 광주 등으로 원거리에 다 흩어져있어서 화상회의를 자주 하고 있다. 이전부터 이곳저곳에서 zoom을 하도 많이 써서 이제는 표준이 되어버린 것 같은 zoom. 이미 대부분의 사람들 컴퓨터에 깔려있어서 zoom으로 화상회의를 하자고 했을 때 별로 거부감 없이 할 수 있다. 다만 ac.kr 이메일로 등록한 academic 사용자에게도 자꾸 시간제한 경고를 띄우는게 마음에 들지 않았다. 뭔가 돈을 내고 프리미엄으로 쓰라고 유도하는 느낌?.. 그 외에도 자질구레한 버그같은 것들이 있어서 이전부터 zoom 대신 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다니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 윈 11에 자동으로 깔리는 MS te..

IT/새로운 시도 2021.11.25

오큘러스 퀘스트 2 첫 VR 앱 제작 및 빌드 문제 해결

제작동기 약 한 달 전쯤, 오큘러스 퀘스트 2를 구매한 후 신세계를 경험하면서, 이것저것 많은 것들을 해 봤다 (기기 관련 리뷰는 조만간 별도의 글로 정리해볼 예정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컨텐츠들이 남들이 만들어놓은 것을 보거나 쓰기만 하는 일방적인 앱들 뿐이라서 뭔가 아쉬웠다. ---- 2021-10-31 추가 ---- 후속 글이 완성되었다. 앱개발이 아니라 사용 리뷰가 궁금한 사람은 참고하기 바란다. https://projecteli.tistory.com/195 메타버스 기기로서의 오큘러스 퀘스트 2 느낀점 및 활용 팁 공유 이전 글을 쓴 이후로 바빠서 한동안 정리를 못했는데, 이제서야 키보드를 잡을 시간이 나서 글을 적는다. 약 한 달 전, 이런저런 이유로 페이스북의 VR 기기인 오큘러스 퀘스트 2..

IT/새로운 시도 2021.10.17

최근에 만든 앱 3종류

알파카 - 여타 스마트스피커보다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인공지능 사용 언어: Python 사용 라이브러리: OpenAI GPT-3 Davinci, Google cloud STT, Google 번역 개발도구: Microsoft Visual Studio Code + Github desktop (버전관리 및 github 업로드용) 개발기간: 3일 소스코드: Github gist 링크 (구글이랑 오픈AI의 API키는 json받은 다음 윈도우 시스템 환경변수에 해당이름으로 등록했음) 알파카 - GPT-3를 사용한 음성인식 알파카 - GPT-3를 사용한 음성인식. GitHub Gis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gist.github.com 구현 아이디어 카카오 ..

IT/새로운 시도 2021.07.08

포토샵 + 펜 태블릿으로 간단한 캐릭터 프로필 그려보기(채색 팁 위주, 초보자 그림 주의)

들어가며 예전부터 미술에 재능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그림은 나랑 거리가 멀다 생각하고 살아왔었지만, 막상 태블릿이 있는데 그림 한 점 못그리는게 뭔가 아쉬웠다. 분명 그림에도 재능의 영역은 있겠지만 그냥 연습을 안해봐서 안되는 부분도 분명히 있으니 간단한거정도는 그려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이래저래 깔짝대 보다가 포기하기를 수 차례. 그러다 최근에 다른 사람이 그려줬던 카톡 오픈프로필 프사를 바꿔보려고 태블릿을 꺼내들었다. 몇 시간의 작업 끝에 그림을 완성했고, 100%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내가 그린거치고는 꽤 괜찮은 퀄리티가 나온거같아서 그려본 과정에 대해 짤막하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그림 그린 순서 요약 흑백 선으로 그림 그리기 머리카락 - 얼굴형 - 눈 - 입 순으로 그렸다. 그리고 옷..

IT/새로운 시도 2021.06.20

전문가에게 물어본 우주위협과 스타링크 위성

들어가며 한 달여 전, 평소에 즐겨 보던 카오스 사이언스 유튜브에서 다음과 같은 영상을 보았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나오신 박사님이 국내외 우주 위험에 대한 감시 현황에 관해 개괄적으로 설명해 주는 대중강연이었다. 영상링크: youtu.be/aVomsAGukSA 평소에도 우주 관측 및 위험에 관심이 많았었는데 2배속으로 돌려보니 약 한시간 정도에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시간에 질문들이 나오는데 즉석에서 답변하기엔 너무 길다고 제대로 된 답변을 듣고싶으면 찾아오라고 하는 내용이 간간이 나왔다. 나의 경우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타링크 위성들이 우주관측과 지구 위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궁금했었는데 강연 내용에 제대로 나오진 않았다. 이미 강연도 끝나버렸고 국내에서 이런거 하는 사람도 많지 않아..

일상./생각 2021.05.08

Jupyter lab 환경에서의 MNIST 재해석

들어가며 이번 주에는 실험을 하다가 즉석에서 계량과 오차계산을 다 해야 했던 실험과정이 있었다. 계산기를 쓰면 편한데 손에 라텍스 장갑을 끼고 있어서 키보드에 묻을 가능성도 있고 매우 찝찝했었다. 그래서 이전 글에서 세팅한 음성인식이 생각이 났다. 노트북에 동일한 세팅을 하고 OriginLab에 연결시켜두면 자동계산이 될 것 같았다. 찾아보니까 origin도 python 연동이 되긴 하는데 2021버전부터 지원하고, 내 소속기관 라이센스는 2019가 한계라 불가능했다. 어쩔 수 없이 엑셀에 미리 수식을 써놓은 파일을 만들고 입력 부분만 말로 연동할 수 있게 하는걸로 계획을 변경했다. 그래서 다른 사람 글을 참고해서 python으로 엑셀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듈을 하나 작성했다. 음성인식 부분도 google..